반응형

중국 정부가 해외업체 기기에 대한 금지령을 확대하면서 더 많은 정부기관과 국영기업들이 애플의 아이폰과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사용을 차단한 것으로 전해진다.

(사진=픽사베이)

1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다수의 국영기업과 최소 8개의 지방 정부가 최근 1~2개월 동안 직원들에게 토종 브랜드 기기만 사용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보도했다. 

이번 조치는 중국 주요 지방정부인 저장성, 광둥성, 장쑤성, 안후이성과 북부의 산시성, 산둥성, 랴오닝성과 세계 최대 아이폰 공장이 있는 중부의 허베이성이 취했다. 이후 해당 지방 하위 도시에 있는 소규모 국영기업과 정부 기관들도 구두로 금지령을 내린 것으로 전해진다. 

앞서 지난 9월 애플의 최신 스마트폰인 아이폰15 출시를 앞두 베이징과 톈진에 있는 소수의 정부기관과 국영기업들이 직원들에게 업무에 외국산 기기 사용을 금지한 것으로 전해진다. 블룸버그는 최근의 조치가 "지난 9월의 상황에서 크게 진전된 것"이라며 "세계 최대 모바일 시장 일부에서 애플과 삼성을 차단할 수 있는 전례 없는 금지령"이라고 전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 수년간 민감한 정보를 다루는 정부기관 공무원을 대상으로 아이폰을 포함한 해외 기기 금지령을 시행해왔으나 최근 더 많은 정부기관과 국영기업으로 범위를 확대한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 정부는 공식적으로는 이러한 금지령을 부인하면서도 아이폰의 보안 문제를 지적했다. 지난 9월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언론 브리핑에서 "중국은 애플이나 외국 브랜드의 휴대폰 구매를 금지하는 법이나 규정을 도입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블룸버그는 정확히 얼마나 많은 정부기관이 금지령을 내렸는지와 얼마나 광범위하게 퍼졌는지는 불분명하다고 전했다. 또한 일부 기관은 애플 등의 기기를 직장에서 사용하는 것만 차단하는 한편 다른 곳은 전혀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등 각 조직마다 금지 조치의 정도가 다를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들이 종합적으로 중요한 시장에서 성장세를 지속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삼성과 애플에 도전을 제시한다"고 지적했다.

애플은 매출의 약 20%가 중국 시장에서 발생한다. 또한 애플의 최대 아이폰 생산기지인 폭스콘 공장도 중국에 위치해있다. 

최근에는 중국 정부의 아이폰 금지령 소식과 함께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현지업체인 화웨이가 돌풍을 일으키면서 아이폰 판매 부진 우려가 심화되고 있다. 지난 3분기에 중국 본토, 대만과 홍콩이 포함된 애플의 중화권 지역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 감소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애플은 맥과 아이패드 판매가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또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중국에서의 실적에 대해 "매우 낙관적"이며 아이폰15 프로가 중화권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의 아누라그 라나와 앤드류 지라드 애널리스트들은 "중국에서 아이폰 판매 약세가 2024년 애플의 재무 성과에 위험 요소가 될 수 있지만 3분기 실적 이후 매출 컨센서스 74억달러가 감소해서 이미 이러한 위협이 충분히 반영됐다"고 진단했다. 이어 "우리는 앞으로 중국에서 애플에 비해 화웨이가 성공적이라는 언론 보도가 더 많이 나올 것으로 예상하지만 전망치가 추가로 하향조정될 위험은 거의 없다"고 분석했다. 

 

출처: 中 정부, 아이폰·삼성 기기 금지령 확대…"토종 브랜드 기기 사용 지시" (naver.com)

 

中 정부, 아이폰·삼성 기기 금지령 확대…"토종 브랜드 기기 사용 지시"

중국 정부가 해외업체 기기에 대한 금지령을 확대하면서 더 많은 정부기관과 국영기업들이 애플의 아이폰과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사용을 차단한 것으로 전해진다. 1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

n.news.naver.com

 

 관련주: 피델릭스, 서플러스글로벌

 

https://open.kakao.com/o/gWFXcfke

 

따세[주식,코인 정보분석방]

#주식#코인#차트#주식공부#뉴스

open.kakao.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