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는 23일 전체회의를 통해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 개정안을 여야 합의로 의결했다. 석유정제업의 범위를 '친환경 정제원료를 혼합한 것'까지 확장한 게 특징이다. 친환경 정제원료의 경우 "석유에서 유래한 것을 재활용하거나 생물유기체에서 유래한 것으로, 석유정제원료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고 명시했다.
기존 법 상으로 정유사는 '석유 정제 제품'만을 팔 수 있었다. 개정안은 여기에 바이오연료, 재생합성연료 등의 사업도 영위할 수 있게 했다. 정유사가 SAF 시장에 진출할 수 있게 문을 열어줬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SAF는 동·식물성 기름, 폐기물, 가스 등을 기반으로 생산하는 항공유다.
SAF의 경우 기존 원유 기반 항공유 대비 80%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어 전 세계적으로 각광받고 있다. 기존 항공유에 SAF를 섞는 비율을 순차적으로 높여나가는 방식으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EU(유럽연합)는 기존 항공유에 SAF를 섞는 비율을 2025년 2%, 2030년 6%, 2035년 20%, 2050년 70%로 잡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SAF 의무 사용 규제가 시작되는 2025년을 기점으로 사업이 만개할 게 유력하다. 시장조사기관 모더인텔리전스에 따르면 2021년 7억4550만 달러(약 1조원)에 불과했던 SAF 시장 규모는 2025년 100억 달러(약 13조원)에 육박한 후 2027년 215억 달러(약 28조원)를 돌파할 전망이다. 특히 2022~2027년 연평균 시장 성장률은 47.2%에 달할 것으로 관측된다. 미국 월드에너지, 핀란드 네스테 등 글로벌 기업들이 발빠르게 시장에 진출한 이유다.
이같이 성장성이 분명한 시장이었지만 그동안 국내 정유사는 '법'에 발목이 잡혀 본격적으로 사업 추진을 하지 못 해왔다. 하지만 국회가 결단을 내리며 SAF 시장에 첫 걸음을 내딛을 수 있게 됐다. 향후 정해질 국회 일정에 따라 법사위, 본회의만 넘으면 내년 중 시장에 적용할 수 있다. 개정안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 예정이다.
개정안을 발의했던 산자위 여당 간사인 김성원 국민의힘 의원은 "석유대체연료의 국내 이용과 보급 확대 등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석유정제업자가 석유 외에 친환경 원료를 투입해 친환경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빠른 시일 내에 (본회의에서) 통과될 수 있도록 국회에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비행기 탄소 줄이는 '28조원' 시장…국내 정유사들에게도 열렸다 (daum.net)
비행기 탄소 줄이는 '28조원' 시장…국내 정유사들에게도 열렸다
[편집자주] 현 시점 항공기의 '넷제로'를 달성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수단. 지속가능항공유(SAF)다. 미래 시장성이 확실하지만, 국내 정유사들의 발목을 '법'이 잡고 있었다. 그런데 이 말뚝이 뽑
v.daum.net
시간외 단일가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석유사업법) 개정안 국회 통과 기대감 속 바이오항공유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
제이씨케미칼 (137950) ( +9.88% )
에코바이오 (038870) ( +9.91% )
지엔씨에너지 (119850) ( +9.97% )
애경케미칼 (161000) ( +2.79%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전 독점 전력망, 민간에 개방"…제룡산업·광명전기 주가 후끈 (2) | 2023.11.27 |
---|---|
"일상에 곧?" CES2024, 로봇으로 빛난 한국 기업들 (2) | 2023.11.27 |
영국 국빈방문]英 기업, 韓 해상풍력에 1조5000억원 투자…후방효과 기대 (0) | 2023.11.23 |
‘철도 원팀 코리아’ 키이우 현장 방문…한·우크라 철도 재건 MOU 체결 (2) | 2023.11.23 |
"세상을 하나로 연결하다"…삼성전자, 사용자 편의 위해 '삼성페이' 생태계 확장 (2) | 2023.11.23 |